사용한 칼, 어떻게 버려야 할까? 안전하고 올바른 폐기 방법!
집에서 오래 쓴 칼, 녹슬고 날도 다 빠져서 이제 버려야 하는데…
“이걸 어떻게 버려야 하지?” 고민된 적 있지?
그냥 쓰레기봉투에 넣기엔 위험하고,
분리수거도 안 되는 것 같고…
오늘은 사용한 칼, 안전하게 버리는 법을 정확히 알려줄게!
칼은 분리수거? 일반쓰레기?
결론부터 말하면
👉 칼은 재질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일반쓰레기' 처리 대상이야.
녹슬고 날이 마모된 칼은
- 분리수거로 들어가면 수거 작업자에게 위험
- 또는 재질 혼합(플라스틱 손잡이 등)으로 재활용이 불가능해
그래서 ‘안전하게 감싸서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게 원칙!
칼 안전하게 버리는 방법 (환경부 및 지자체 기준)
1. 두꺼운 종이·신문지로 칼날 감싸기
- 신문지 또는 폐박스를 3~4겹 이상 감싸서 날이 절대 드러나지 않게!
2. 테이프로 단단히 고정하기
- 흔들리지 않도록 테이프로 칭칭 감아주기
3. 겉면에 '칼 있음', '위험' 표시하기
- 봉투에 직접 적거나 포장지에 써주면 더 안전
4. 종량제 봉투에 넣어 일반쓰레기로 배출
- 반드시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리자
📌 일부 지자체에서는 작은 금속류를 고철로 수거할 수 있지만,
‘날이 있는 도구’는 안전 문제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라는 안내가 대부분이야.
스테인리스·도자기 칼은 대형폐기물일까?
- 일반적인 주방칼은 대형폐기물 아님 → 종량제 봉투로 충분
- 단, 부엌도끼·날이 큰 특수도구는 지자체 기준에 따라
대형폐기물로 간주될 수 있으니 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는 게 좋아
절대 안 되는 버리는 방법
- 날이 드러난 채 쓰레기봉투에 투입 ❌
- 재활용 통(플라스틱·캔류 등)에 무단 투입 ❌
- 칼 그대로 들고 폐기물 수거장에 놓기 ❌
→ 모두 사고 위험 + 재활용 공정 방해
마무리하며
칼 하나 버리는 것도
조금만 신경 쓰면 사고를 막고, 수거하시는 분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어.
✔️ 두껍게 감싸고
✔️ 단단히 고정하고
✔️ ‘위험’ 표시까지 꼭 하기!
이제부터는 칼 버릴 때도
올바른 분리배출 습관, 함께 지켜보자 😊
참고자료
- 환경부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안내
👉 https://www.me.go.kr/home/web/publicInfo/read.do?menuId=10392&articleId=1015181 - 서울시 종량제 기준 안내
👉 https://clean.seoul.go.kr - 대전시 생활폐기물 배출 방법
👉 https://www.daejeon.go.kr/eco/index.do
#칼버리는법 #생활쓰레기 #일반쓰레기 #분리배출방법 #생활꿀팁 #환경정보 #제로웨이스트
'지식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 쓴 양초 버리는 방법, 친환경 재활용 방법 (0) | 2025.04.10 |
---|---|
깨진 유리, 버리는 방법 (0) | 2025.04.09 |
수박 껍질 버리는 방법, 음식물 쓰레기? 일반 쓰레기? (0) | 2025.04.09 |
건전지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 - 그냥 버리면 안 돼요! 🔋 (1) | 2025.04.09 |
사용한 식용유 버리는 방법 - 그냥 싱크대에 버리면 큰일나요!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