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 워크프레임, 프로젝트 프로세스 정리
요즘 디지털 마케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검색엔진 최적화(SEO) 입니다.
쉽게 설명해서 사람들이 구글, 네이버 등에서 정보를 찾을 때,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는 것니다.
좁은 의미에서는 주요 포털 사이트(네이버, 구글 등)에서의 검색 결과를 의미하지만,
조금 더 광범위하게는 모든 웹사이트나, 쇼핑몰 등 검색 기능이 있는 곳에서의 검색결과최적화를 SEO라고 의미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각설하고,
많은 사람들, 기업들이 SEO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저 일시적인 광고나 마케팅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온라인에서의 브랜드 인지도 상승을 원한다면, SEO 프로젝트는 단순히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보통 SEO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성과를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여전히 생소한 개념이고, 전문가가 많지 않아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것에 대한 어려움들이 많으신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구축된 SEO 는 비용적으로 엄청난 효과를 가져다주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SEO 작업을 해보시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SEO 프로젝트를 어떤 식으로 진행해야 하는지,
주요 SEO 프로세스나 중요한 내용은 무엇이 있는지 정리해봤습니다.
1. SEO 진단: 현황 분석
크롤링 & 인덱싱 최적화 (Technical SEO)
🔍 목표: 구글이 사이트를 효율적으로 크롤링하고, 핵심 페이지를 빠르게 인덱싱하도록 최적화
- robots.txt 점검: 검색엔진이 크롤링하지 않아야 할 페이지 차단 여부 확인
- XML 사이트맵 상태 확인: 모든 중요한 페이지가 사이트맵에 포함되어 있는지
- URL 구조 최적화: 짧고 직관적인 URL, 중복 URL 문제 해결
- 캐논니컬 태그 설정 검토: 중복 페이지 문제 해결을 위한 올바른 설정
- 사이트 크롤링 오류 분석: 404, 5xx 오류 페이지 식별 및 해결 (Google Search Console 활용)
- 구글 인덱싱 상태 점검: "site:도메인.com" 검색 및 GSC 내 색인 커버리지 보고서 활용
웹사이트 성능 및 기술적 최적화
🔍 목표: 사이트 속도를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UX) 향상
- Google PageSpeed Insights / Lighthouse 점검
- LCP(최대 콘텐츠 표시 시간)
- CLS(누적 레이아웃 이동)
- TTFB(첫 바이트 시간)
- 이미지 최적화 (WebP, Lazy Loading 적용)
- CSS, JavaScript 파일 최적화 (불필요한 리소스 최소화, 코드 압축)
- 서버 응답 속도 개선 (CDN 적용, 캐싱 활용, 호스팅 점검)
모바일 & 반응형 디자인 체크
🔍 목표: 구글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 기준에 맞춰 최적화
- 모바일 크롤러 기준으로 페이지가 문제없이 표시되는지 확인
- 반응형 디자인 테스트 (Google Mobile-Friendly Test 활용)
- 터치 요소(버튼, CTA) 크기 및 간격 조정
2. 검색 노출 최적화 (리치 검색 & 스키마 마크업)
- 리치 검색 결과(Rich Results)란?
- 리치 검색 결과는 구글이 기존의 단순한 검색 결과(SERP)보다 추가적인 정보(이미지, 별점, 가격, FAQ 등) 를 포함하여 보다 시각적으로 풍부하게 표시하는 방식이다.
- 스키마 마크업(Schema Markup)이란?
- 리치 검색 결과를 얻으려면 스키마 마크업을 적용해야 함
- 하지만 스키마 마크업을 적용했다고 해서 무조건 리치 검색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님 (구글이 결정)
- 스키마 마크업(Schema Markup) 은 구조화 데이터(Structured Data)를 활용하여 웹페이지의 내용을 검색 엔진이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코드이다.
🔍 목표: 검색 결과에서 B2B 제조 기업 웹사이트의 가시성을 높이고 클릭률(CTR) 증가
- 제품(Product) 스키마: 주요 제품의 가격, 설명, 사양 표시
- FAQ 스키마: 자주 묻는 질문을 검색 결과에 표시하여 클릭 유도
- Article 스키마: 블로그 및 기술 문서의 검색 노출 강화
- Organization 스키마: 브랜드 정보(기업명, 로고, 연락처 등) 표시
- Breadcrumb 스키마: 사이트 구조를 명확히 하여 검색 결과 가독성 개선
✅ 실제 검색 결과 테스트: Google 리치 결과 테스트 툴을 활용하여 스키마가 정상적으로 적용되는지 확인
3. 콘텐츠 SEO & 키워드 최적화
🔍 목표: 검색 엔진이 페이지의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타겟 키워드의 검색 순위를 높이도록 최적화
키워드 전략 분석
- 기존 웹사이트 키워드 성과 분석: Google Search Console & Ahrefs 활용
- 산업별 주요 키워드 리서치: 경쟁사 및 시장 분석을 통한 최적 키워드 선정
- 롱테일 키워드 활용: 정보 검색 단계에서 유입을 유도하는 키워드 포함
온페이지 SEO 최적화
- H1~H6 태그 구조 점검 (논리적 계층 구조 유지)
- 메타 태그 최적화 (제목, 설명 태그에 타겟 키워드 포함)
- 이미지 ALT 태그 설정 (검색엔진이 이미지 콘텐츠 이해 가능하도록)
- 내부 링크 최적화 (페이지 간 링크 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성)
블로그 & 기술 문서 콘텐츠 강화
- 산업별 트렌드 및 솔루션 제공하는 고품질 블로그 콘텐츠 운영
- B2B 고객을 위한 백서(White Paper), eBook 다운로드 페이지 구축
- FAQ 페이지를 활용한 전문적인 기술 가이드 제공
4. 리드 전환 최적화 (CRO - Conversion Rate Optimization)
🔍 목표: SEO를 통해 유입된 방문자를 효과적으로 리드로 전환
CTA (Call-to-Action) 최적화
- 견적 문의 / 데모 요청 버튼의 명확한 배치
- 버튼 색상, 문구 최적화 (A/B 테스트 진행)
리드 수집 양식 최적화
- 불필요한 필드 최소화하여 전환율 상승
- 고객 문의 데이터 자동 수집 → CRM (HubSpot, Salesforce) 연계
랜딩 페이지 SEO & UX 개선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맞춘 전환 중심 랜딩 페이지 운영
- SEO 트래픽 유입 후 즉각적인 액션을 유도하는 UX 설계
5. SEO 성과 모니터링 & 지속적 개선
🔍 목표: SEO 성과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지속적인 최적화를 통해 ROI 극대화
주요 SEO 성과 지표 설정
지표 | 분석 툴 | 목표 |
---|---|---|
유기적 트래픽 증가율 | Google Search Console, GA4 | 지속적인 상승 |
키워드 순위 변화 | Ahrefs, SEMrush | 핵심 키워드 상위권 유지 |
클릭률(CTR) | Google Search Console | 3~5% 이상 유지 |
페이지 체류 시간 | GA4 | 평균 2분 이상 |
전환율(CVR) | GA4, CRM | 리드 전환율 개선 |
지속적 개선 프로세스
- 월별 SEO 리포트 작성 → 트래픽, 키워드, 전환율 분석
- A/B 테스트 진행 → 메타 태그, CTA 버튼, 콘텐츠 레이아웃 최적화
- 콘텐츠 지속 업데이트 → 블로그, FAQ, 기술 문서 추가
6. SEO 개선 작업 진행 프로세스
실행 로드맵
단계 | 작업 내용 | 기간 |
---|---|---|
1.진단 | 웹사이트 크롤링, 인덱싱, 성능 분석 | 1주 |
2.컨설팅 | 개선 전략 수립 및 우선순위 결정 | 1주 |
3.SEO 기술 작업 | 속도 최적화, 모바일 UX 개선 | 2~3주 |
4.콘텐츠 최적화 | 메타 태그, 내부 링크, 블로그 강화 | 3~4주 |
5.리드 전환 개선 | 랜딩 페이지, CTA 최적화 | 2주 |
6.모니터링 & 유지보수 | GA4, GSC 활용한 지속 분석 | 지속 |
B2B 비즈니스를 위한 SEO 작업 프로세스 요약
- 기술적 SEO(크롤링, 속도, 구조) → 검색 최적화(리치 결과, 스키마) → 콘텐츠 SEO(키워드, 블로그) → 전환 최적화(CRO) 순서로 진행
- 리드 유입 및 전환율 증가를 목표로 지속적 A/B 테스트와 데이터 기반 개선
- 월간 SEO 성과 분석을 통한 장기적인 검색 순위 유지 및 최적
'마케팅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타그램 알고리즘 이해하기 - 9년차 스타트업 마케터의 끄적임 (0) | 2025.04.04 |
---|---|
인스타그램 조회수 지표 제대로 해석하기 (feat. 스타트업 9년차 마케터가 끄적임) (0) | 2025.04.04 |
인스타그램 도달 지표 제대로 이해하고 써먹기 (0) | 2025.04.04 |
인스타그램, 도달 지표가 중요한 이유 (feat. 9년차 스타트업 마케터가 찌끄려본 글) (0) | 2025.04.03 |
앱 푸시 메시지 성과 엑셀 시트 (0) | 2025.04.03 |